학과소식

뉴스

차 의과학대학교에서 의생명과학, 글로벌경영학을 전공한 이건엽 대표님께서 개발하신 플랫폼 ‘요즘것들’을 소개하려 합니다. 갈수록 좁아지는 취업 문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학점, 외국어 자격증뿐 아니라 지원 직무와 관련한 대외활동 및 공모전에서 많은 경험을 쌓는 게 중요합니다. 학창 시절 대외활동 및 공모전 정보를 일일이 찾는 데에서 어려운 점을 발견한 6명의...

딥러닝 이해와 응용 과목은 다음 학기 신설되는 3학년 과목으로 조상균 강사님께서 강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제 딥러닝은 자연어∙이미지 처리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그 유용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딥러닝의 기반 지식을 학습하고 다룰 수 있는 능력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데이터경영학과에서 배우는 R, Phython, SQL 프로그래밍 언어는 세계적으로 얼마나 많이 쓰일까? 아래는 소프트웨어 품질 서비스 공급 업체인 ‘티오베’에서 매달 발표하는 가장 인기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순위 표이다. ■ TIOBE Index for July 2020(출처: https://www.tiobe.com/tiobe-index/)    Phython은 3위에 R은 8위에 SQL은 11위에 각각 존재한다. 특히 R은 인기가 급상승해 작년 7월에...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0년 2학기에 신설되는 김재중 교수님의 과목을 소개하려 합니다. 최근 급변하는 기술의 발전 시대인 4차 산업시대를 준비하는 시기를 IBCM(IOT, BigData Cloud, Mobile)시대 라고 합니다. 이런 고도화된 사회를 준비하는 소비자들이 스마트폰을 신체의 일부처럼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포노 사피엔스 시대(Phono sapiens)’ 라고도 합니다. 코로나로 인해 시대의 삶이 바뀌어...

안녕하세요. 데이터경영학과 19학번 공지원입니다. 저는 이번학기 때 제일 흥미롭게 수업을 들었던 김억환 교수님의 ‘조직행동론’ 강의에 대한 후기를 남겨보려고 합니다. 조직행동론 수업은 개인의 차이 이해, 지각과 귀인, 성과와 학습, 동기부여 이론, 목표설정 이론, 팀과 소통, 리더십, 의사결정과정, 권력과 정치, 갈등과 협상, 조직문화와 변화 등으로 이루어진 인사부분에서 발생하는...

교수님을 통해 이것을 알게 되었는데 신기해서 학우들에게 소개하게 됐습니다. 이 기술은 딥페이크를 이용한 기술이며 관련 설명은 이곳을 눌러 확인해주세요. 저같이 파이썬을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여도 개발자의 설명을 보고 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2대의 컴퓨터로 테스트 해봤으며 각각 다른 인터넷 환경과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 컴퓨터는 10분이내로 됐지만, 다른 컴퓨터로 테스트하면서...

기술경영 만나기는 다음 학기 신설되는 1학년 과목으로 김용환 교수님께서 강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본 수업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흐름에 맞는 기술경영 전략과 이론, 연구개발 관리 및 프로젝트 평가/선정, 기술 사업화 등의 기술경영이론 사례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합니다. 본 강의는 1학년 수업이기에 기술 혁신과 디지털 비즈니스 트렌드와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

중앙 시사매거진에 이훈규 총장님의 인터뷰 기사가 실렸습니다. 대학총장 열전이란 시리즈로 발표되는 기사들인데, 총장님께서 데이터경영학과에 대한 언급을 해주셨습니다. 언급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2013년 의료 융복합 인재 양성을 위해 사회과학계열인 융합과학대학이 신설되었습니다. 저출산으로 학생 수가 급감하는 동시에 4차 산업혁명을 맞은 사회는 특화된 정예 인재를 원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번 2020년 1학기에 김용환 교수님의 경제학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이 강의를 통해 경제학의 경제이론, 순수자본주의 경제와 현실적 한계, 수요와 공급이론과 새로운 소비계층, 소비경제 이론과 특징 및 사례, 생산경제의 개념과 생산경제이론, 시장경제와 종류 및 특징, 독점시장, 일반균형과 파레토최적, 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실패, 균형국민소득과 GDP 현실적 한계,...

코로나로 잘 다니지 못하는 이 막막한 시간 우리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격증에 도전해 보면 어떨까요. 우리 학과 선배들이 자격증 동아리들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모두들 적어도 한 곳에는 참여해서 신나는 여름 방학을 보냈으면 합니다....